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7 [TIL] 20230411 - 20230423 성장일지 Unreal Engine 5.1 Hit Results - Hit Location - Hit Actor DrawDebugSphere - 매개변수 목록 1. 현재 World 2. Sphere이 그려질 Center 3. Radius 4. 원을 그릴때 사용할 Line의 수 5. Sphere의 Color 6. 원을 영구적으로 지속할지 말지 bool 타입 7. 원을 일시적으로 유지할 시 몇초간 유지할지 GetHitResultUnderCursor - 현재 커서의 위치를 얻어오는 함수. - 충돌 채널은 ECC_Visibility - 맵의 끝까지 와서 마우스 커서가 충돌하는 곳이 없다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. => BlockingVolume를 설치해서 맵 외곽을 모두 둘러싼다. ==> BlockingVolume의 콜리전.. 2023. 4. 24. [TIL] 20230403 - 20230408 성장일지 C/C++ - 포스팅 링크 : [C/C++] C++에 왔으면 C++의 법을 따릅시다 - (2) Unreal Engine 5.1 Choosing a Class Actor Pawn Character - Can be placed in the world - Can have a visual representation ex) Mesh, etc. - Derived from Actor - Can be possessed by a Controller => Pawn can be controlled by a player. - Handles movement input - Derived from Pawn - Has Character specific stuff (Character Movement, Component, etc.) -.. 2023. 4. 10. [C/C++] C++에 왔으면 C++의 법을 따릅시다 - (2) Effective C++ 3판을 기반으로 작성한 글입니다. C/C++ 항목 3: 낌새만 보이면 const를 들이대 보자! - 함수 반환 값을 상수로 정해 주면, 안전성이나 효율을 포기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에러 돌발 상황을 줄이는 효과를 볼 수 있다. - 멤버 함수에 붙는 const 키워드의 역할은 "해당 멤버 함수가 상수 객체에 대해 호출될 함수이다"라는 사실을 알려 주는 것이다. - const 키워드가 있고 없고의 차이만 있는 멤버 함수들은 오버로딩이 가능하다. => C++의 매우 중요한 성질이다. - C++ 프로그램의 실행 성능을 높이는 핵심 기법 중 하나가 객체 전달을 "상수 객체에 대한 참조자(reference-to-const)"로 진행하는 것이다. => 상수 상태로 전달된 객체를 조작할 수 있는.. 2023. 4. 10. [TIL] 20230327 - 20230331 성장일지 Unreal Engine 5.1 Glossary - Dependency Injection => I need another object but can't find it myself. Sleep - 물리 엔진이 오브젝트가 움직이지 않을 때 자동으로 비활성화 되는 모드 => 오브젝트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을 때 물리 엔진이 이를 인식하고, 해당 오브젝트의 물리 계산을 일시 중단시키는 것. - Sleep Family => 현재 오브젝트를 sleep 상태로 전환할 시기를 고려할 때 사용되는 값 세트. => Normal, Sensitive, Custom 중에 선택할 수 있다. - Custom Sleep Threshold Multiplier => Sleep Family가 Custom으로 설정된 경우 자연 슬립 한계치.. 2023. 3. 31. 이전 1 2 3 4 ··· 35 다음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