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초 게임 수학
- 인프런 기초 게임 수학 강의 수강
Unreal Engine 5.1
- 뷰포트에서 움직일 때 렉이 걸리는 거 같으면
우측 상단 Settings - Engine Scalability Settings - Quality를 조절하며 뷰포트가 렌더링 되는 속도를 확인한다.
- 패널(탭)을 실수로 닫아버렸을 때 Window 메뉴의 Load Layout - Default Layout => 처음 시작했던 기본 레이어로 돌아온다.
- 마우스 우클릭을 한 상태로 휠을 위아래로 조절하면 카메라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.
- 언리얼의 한 장면은 액터라고 하는 다양한 개체로 구성된다.
- 별도로 선택이 가능한 모든 것은 액터이다.
- Outliner
- 현재 장면에 있는 액터들이 텍스트로 표기되어 있다.
=> 뷰포트는 시각적인 요소로 액터들이 표기되어 있는 셈.
- Outliner의 아무 항목이나 두번 클릭하면 해당 항목을 볼 수 있도록 뷰포트가 전환된다.(카메라가 이동한다.)
- 선택하는 모든 개체에 기즈모가 존재한다.
- 세 개의 기본 방향을 가리키는 세 개의 화살표
- 기즈모를 선택해서 드래그 할 때 Alt를 누르고 있으면 새로운 개체를 자동으로 복사해서 해당 개체를 변환할 수 있다.
- 블루프린트 vs C++
- 블루프린트란 시각적 프로그래밍 언어다.
- 블루프린트는 언리얼 자체 에디터에서 직접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.
- C++는 업계 표준 언어이며 별도의 에디터가 필요하다.
- 블루프린트 장점
=> 변경이 빠르다
=> 초보자에게 친숙하다.(복잡한 단어, 함수 이름 등을 기억할 필요가 없다)
=> 검색이 빠르다(사용하려는 기능을 찾기 빠르다)
=> 언리얼에 맞춤 제작 되어있다.
=> 디자이너와 아티스트(즉, 다른 팀)이 좀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다.
- C++ 장점
=> 가독성이 좋다.
=> 산업 표준 언어이다.
=> 매우 빠르다.
=> 모든 영역과 모든 기능에 액세스 할 수 있다. <-> 블루프린트에는 제약이 있음
=> 대규모 프로젝트에 더 좋다.
- 블루프린트와 C++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다.
- 로그 메시지
- 기본적으로 Output Log 패널에서 로그 출력을 확인할 수 있다.
-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하여 Saved 폴더 - Logs 폴더로 이동하면 프로젝트 로그가 포함된다.
- 질문하기
- 로그 내용이 너무 길 경우 gist.github.com 에 해당 로그 파일을 드래그 다운 해서 업로드 하면 된다.(Create Secret Gist)
=> 업로드 후 해당 URL을 복사해서 질문에 붙여넣으면 해당 URL을 통해 다른 사람이 로그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.
==> 관련 부분을 검색하고, 설정에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등을 식별하는데 도움이 된다.
=> 장문의 C++ 코드에 대한 빌드 에러도 동일한 방법으로 로그 메시지를 공유할 수 있다.
- 최후 수단은 프로젝트 자체를 공유하는 것이다.
=> 전체 프로젝트 폴더를 압축하기에는 불필요한 항목이 너무 많다.(다시 만들 수 있는 많은 양의 빌드 정보를 보낼 필요가 없다.)
=> Unreal 엔진에서 File - Zip Project를 선택하여 압축한다.
==> 압축 파일은 구글 드라이브, 드랍박스 등을 이용해 공유한다.
Algorithm
- Leetcode Study Plan
- Day 11. DP, Recursion, Backtraking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] 20230222 성장일지 (0) | 2023.02.22 |
---|---|
[TIL] 20230221 성장일지 (0) | 2023.02.22 |
[TIL] 20230219 성장일지 (0) | 2023.02.19 |
[TIL] 20230218 성장일지 (0) | 2023.02.18 |
[TIL] 20230215 - 20230217 성장일지 (0) | 2023.02.18 |
댓글